본문 바로가기
피부·건강

아기 열날 때 대처법 vs 병원 언제 가야 하나?🤒

by green1014 2025. 4. 23.

“체온계 숫자만 봐도 심장이 덜컥…”

아기가 갑자기 뜨거워진 느낌이 들 때, 체온계를 꺼내는 순간 이미 마음은 불안으로 가득해지죠.
“지금 바로 병원 가야 할까?” “해열제를 먼저 먹여야 하나?”
육아맘들이 한 번쯤 겪는 고민이에요.

오늘은 아기 열날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과 병원 가야 하는 시기 기준을 정리해볼게요.
엄마의 빠른 판단이 아기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에요!



1. 아기 체온, 몇 도부터 열인가요?


정상 체온은 보통 36.5~37.5도 사이예요.

☑️37.6~38도: 미열

☑️38.1~39도: 중간 열

☑️39도 이상: 고열


38도 이상이면 해열제를 고려해볼 수 있어요!
단, 해열제는 나이와 체중에 맞게 꼭 용량 지켜야 해요.



2. 해열제 사용, 언제가 적절할까요?


해열제는 단순히 ‘열을 낮추는 것’보다는
아기가 힘들어할 때 사용해요.
체온이 38도 넘더라도 아기가 잘 놀고, 식사도 괜찮다면 조금 지켜봐도 됩니다.

반대로,

처진다

먹지도 않고 축 늘어짐

눈빛이 흐리다

생후 3개월 미만인데 38도 이상


바로 병원으로 고고!



3. 병원 꼭 가야 하는 상황은?

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
지체 없이 병원에 가야 해요!

[긴급 병원 방문 체크리스트]
✔ 생후 3개월 미만인데 38도 이상
✔ 39.5도 이상 고열이 1~2일째 계속
✔ 열이 내렸다가 다시 오르기를 반복
✔ 경련, 호흡 이상, 의식 혼미 증상
✔ 기저귀 소변량이 줄거나 입이 바싹 마름

열만 보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,
위와 같은 ‘위험 신호’는 절대 간과하면 안 돼요. ❌️




4. 열났을 때 엄마가 해줄 수 있는 대처법


1) 옷은 얇게!
→ 땀이 차지 않도록 통기성 좋은 내의 한 겹만!

2) 미지근한 물수건 닦기
→ 겨드랑이, 목, 다리 접히는 부위 중심으로 부드럽게

3) 수분 보충
→ 생후 6개월 이후라면 물, 보리차 조금씩 자주

4) 열 체크는 2~3시간 간격으로
→ 너무 자주 체크하면 엄마도 아기도 지쳐요


5. 엄마 마음이 가장 중요해요

육아하면서 '열'만큼 자주 마주치는 건강 신호도 없죠.
처음에는 너무 무서웠지만, 몇 번 겪다 보면 엄마의 촉과 판단이 자라나는 걸 느끼게 돼요.
“이건 괜찮은 열인지, 아닌지”
엄마는 결국 전문가가 됩니다.


지금도 잘하고 있어요. 너무 걱정하지 말아요!
필요할 때 병원 도움을 받는 것도,
지켜보는 것도, 모두 사랑이란 걸 잊지 말아요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