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

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총정리 🤓

by green1014 2025. 4. 24.

신고 대상, 방법,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!
📌 프리랜서, 자영업자, 부업하는 직장인도 꼭 체크하세요!

 

안녕하세요 :)
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인 거 알고 계시죠?
특히 요즘은 프리랜서, 부업, N잡러가 많다 보니
“어? 나도 신고 대상인가?” 고민하시는 분들 많아요.

이 포스팅에서는
종합소득세란 무엇인지, 누가 신고해야 하는지,
어떻게 해야 하는지
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✍

 

 

종합소득세란? 🤓

1년 동안 개인이 벌어들인 종합적인 소득에 대해 내는 세금이에요.
소득이 여러 군데서 생긴 분이라면? 다 합산해서 신고해야 합니다.

대상 소득 (2024년 발생 기준)

  • 사업소득: 자영업자, 프리랜서, 부업 등
  • 근로소득: 회사 다니면서 다른 소득도 있는 경우
  • 이자소득 / 배당소득
  • 연금소득
  • 기타소득: 강연료, 원고료, 복권 당첨금 등

 

2025년 신고 기간은 언제? ⏰

  •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납부 기한: 2025년 6월 3일(월)까지
    (5월 31일이 토요일이라 납부 기한은 평일인 6월 3일로 연장)

주의! 신고를 안 하거나 지연하면 가산세가 붙을 수 있어요 ❗

 

누가 꼭 신고해야 할까? 📋

프리랜서 & 유튜버 & 작가 등 사업자 미등록 소득자
부업하는 직장인 (예: 블로그 광고, 스마트스토어 운영 등)
자영업자 및 개인사업자
주택임대 소득이 있는 분
연금소득, 배당소득 등 기타소득 있는 분

※ 근로소득만 있는 회사원은 연말정산으로 끝이라 별도 신고 필요 없어요.
단! 다른 소득이 있다면 예외예요.

 

어떻게 신고할까? 🧾

1. 홈택스 온라인 신고

  • 국세청 홈택스 접속
  • 로그인 후 > ‘종합소득세 신고’ 메뉴 클릭
  • 소득 자료 자동 불러오기 기능 사용 가능 (정말 편함!)

2. 모바일 손택스

  • 앱 설치 후 종합소득세 메뉴에서 바로 신고 가능
  • 증빙서류는 미리 사진 찍어두면 GOOD!

3. 세무대리인(세무사)에게 맡기기

  • 수익이 복잡하거나 사업 규모가 크다면 위임하는 것도 좋아요
  • 보통 10만~30만 원대 수수료 발생 (케이스에 따라 다름)

 

2025년 달라진 점은? 🔍

스마트스토어·배민 등 플랫폼 소득 자료 자동 수집 범위 확대
미신고 시 가산세 강화 (신고불성실, 납부불성실 등 최대 40%)
간편장부 대상 확대: 연매출 8000만 원까지 가능
모바일 신고 간소화: UI/UX 개선으로 더 쉬워짐

 

종소세 줄일 수 있는 꿀팁 🍯

  1. 경비를 빠짐없이 정리하자!
    • 집에서 일했다면 통신비, 전기세 일부도 비용처리 가능
  2. 세액공제 항목 놓치지 말기
    •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, 연금저축,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등
  3. 지출증빙카드 활용하자
    •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 잘 챙겨놓기

 

종소세 미신고 시 불이익 ⚠️

  • 무신고 가산세: 납부할 세액의 최대 20%
  • 납부불성실 가산세: 1일 0.025%씩 계속 부과
  • 신용점수 하락, 세무조사 가능성 증가 등 리스크 있음

 

이런 분들은 꼭 확인하세요! 🔍

  • 스마트스토어 운영하고 있지만 사업자등록은 안 한 분
  • SNS 마켓 운영 중인 크리에이터
  • 콘텐츠 제작하고 원고료·광고료 받은 적 있는 분
  • 직장 다니면서 유튜브, 블로그 수익 있는 분
  • 카카오뷰, 애드센스 수익 처음 받은 분

한 푼이라도 벌었다면, 국세청은 알고 있습니다…! 😅
꼭! 확인하고 정직하게 신고합시다.

 

마무리하며 ✍

종합소득세는 이제 더 이상 ‘자영업자만의 일’이 아니에요.
프리랜서, 부업러, 크리에이터, 디지털노마드까지 모두의 세금입니다.

2025년 5월,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활용해서
꼼꼼히 신고하시고, 놓치는 세액공제도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해보세요!
필요한 경우 세무사 도움을 받는 것도 현명한 선택이에요 💡

반응형